포스팅 목차
사진을 찍을 때 설정하기 어려운 것 중 하나가 노출입니다. 카메라는 한 장면을 찍을 때 적정 노출을 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카메라의 노출계는 18% 회색 톤에 맞추어 설계가 되었는데 이 회색톤이 인간의 피부 톤과 흡사합니다. 아무래도 카메라로 가장 많이 찍는 피사체가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지금부터 적절한 노출 설정은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화면에 밝은 빛이 들어오거나 장면이 밝으면 사진은 어둡게 찍히고 장면이 어두울 때는 밝게 찍힙니다. 촬영을 하면서 노출에 대한 감이 잘 오지 않을 때 자신의 손등을 노출계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카메라를 AV모드로 세팅하고 자신이 촬영할 장면에 손등을 가져다 댑니다. 설정된 조리개와 셔터 스피드의 값을 기억하고 M모드에서 그 값을 그대로 세팅해 촬영해보시기 바랍니다. 변하는 빛이 아닌 이상 같은 빛 조건이라면 거의 같은 노출로 촬영이 됩니다.
시간에 따라 노출이 어느 정도 되는지 위의 방법으로 확인을 해봅니다. LCD로 결과물을 확인하고 밝게 찍고 싶으면 +노출, 어둡게 찍고 싶으면 -노출을 하면 됩니다. 이 방법을 꾸준하게 연습하면 특정 상황에서 대략적인 노출의 감을 익힐 수가 있습니다.
물리적 노출과 심리적 노출
적정 노출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어떤 사람은 밝은 사진을 좋아하고 어떤 사람은 어두운 사진을 좋아합니다. 밝음과 어두움에 대한 선호도는 찍는 사람의 심리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합니다. 만약에 내 마음이 슬프다면 어둡고 슬픈 피사체에 더 끌릴 수 밖에 없습니다. 어두운 피사체들은 검은색, 짙은 회색, 푸른색, 짙은 붉은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밝은 사진은 흰색, 파스텔, 원색 계열의 톤과 컬러가 많이 들어갑니다.
어떤 것이 더 좋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자신의 마음이 향하는 피사체를 찾아서 적절한 톤과 컬러를 담아 표현을 해야 다른 이들에게 내가 본 느낌을 전달 할 수 있습니다. 사진의 노출은 물리적이고 기계적인 정확도에 의존하는 물리적 노출도 있지만 사진을 찍는 사람의 마음과 정신적 상태를 전달하는 심리적 노출도 중요합니다.
빛의 가감
카메라의 물리적 노출, 심리적 노출 둘다 중요합니다. +노출을 하면 밝게, -노출을 하면 어둡게 촬영된다는 것은 어느정도 이해를 할 것입니다.
+노출로 밝게 촬영하는 것은 특정 컬러의 물감에 흰색을 섞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반대로 -노출을 해서 어둡게 촬영하는 것은 검은색을 섞어 짙게 만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면 카메라에서 빛을 더하고 빼는 노출 보정이 컬러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밝은 부분의 하이라이트 디테일이 사라지지 않게 노출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하이라이트 디테일이 사라지게 되면 컬러가 제대로 표현되지 않으며 이는 인화할 때 마찬가지로 나타납니다. 무조건 밝게 촬영한다고 해서 밝은 느낌의 사진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너무 밝게 노출할 경우 사진에 힘이 없고 컬러가 이상하게 보입니다. 파인더 안에 포함될 피사체 간의 조화, 사진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정서를 생각해야 제대로 된 노출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