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많이들 사고 있는 복권은 로또와 연금복권일 것입니다. 로또가 한 번에 고액 당첨금을 받는다면 연금복권은 월급처럼 매월 꾸준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연금복권 실수령액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사는 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연금복권 1등 당첨금은 매 월 700만 원씩 20년간 연금식으로 지급을 하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월급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700만 원을 고스란히 받는 것은 아닙니다. 세금을 제하고 들어오기 때문에 연금복권 실수령액은 조금 더 낮아지게 됩니다.
연금복권 당첨금 안내

연금복권 720은 2020년 5월에 출시가 되었습니다. 원래는 500만 원이었는데 700만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1등 당첨은 판매점과 인터넷 각 1매씩 총 2매가 됩니다. 당첨확률은 1/5,000,000입니다. 로또보다 약 1.6배가 높습니다.
- 1등 당첨금: 월 700만 원*20년, 2매
- 2등 당첨금: 월 100만 원*10년, 8매
- 3등 당첨금: 100만 원, 90매
- 4등 당첨금: 10만 원, 900매
- 5등 당첨금: 5만 원, 9,000매
- 6등 당첨금: 5천 원, 90,000매
- 7등 당첨금: 1천 원, 900,000매
- 보너스: 월 100만 원*10년, 10매
연금복권 당첨의 경우 사실상 1등부터 3등까지 그리고 보너스 당첨 외에는 큰 메리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자, 그럼 연금복권 실수령액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연금복권 실수령액

연금복권 실수령액을 알아보기 전 세금부터 확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당첨자는 당첨금으로 공시된 금액이 아니라 원천징수액을 차감한 나머지 금액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
- 200만 원 초과~3억 원 이하: 22% (소득세 20%+주민세 2%)
- 3억 원 초과: 33% (소득세 30%+주민세 3%)
연금복권 당첨금은 총 16억 8천만 원입니다. 하지만 매 월 700만 원씩 받게 되어 22% 세율이 적용됩니다. 계산을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1등 당첨금 실수령액 546만 원
연금복권 실수령액은 20년 동안 매 월 546만 원씩 받을 수가 있습니다. 2등부터는 당첨금이 200만 원이 초과되지 않기 때문에 세금이 붙지 않습니다. 그래도 100만 원씩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복권 사는 법

연금복권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확인했으니 이제는 사는 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판매점에 직접 방문해서 구매하거나 동행복권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매가 가능합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구분됩니다.
오프라인은 가까운 복권 판매점에 방문하셔서 연금복권을 구매하면 됩니다. 각 회차별로 1~5조가 있고 뒷번호는 마음에 드는 것으로 선택해서 사면될 것 같습니다.
온라인 구매 방법

온라인으로 연금복권 사는 법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현재 복권수탁업체는 동행복권입니다. 해당 홈페이지에서 예치금을 넣어두면 로또나 기타 복권들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상단 '복권구매' 메뉴를 보면 아래에 연금복권 720이 나와있습니다. 클릭하시면 구매할 수 있는 창이 하나 뜨게 됩니다.

여기서 랜덤으로 하실 분들은 상단 '모든 조' 좌측에 있는 자동번호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수동으로 입력할 분들은 아래에 있는 숫자를 클릭하셔서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모든 번호를 입력하셨다면 상단 좌측에 보이는 '선택 완료'를 클릭하면 아래에 번호가 등록됩니다. 번호를 모두 선택한 후에 우측 하단에 구매하기 버튼을 통해 구입하면 됩니다.
당첨금 지급 안내

당첨이 되었다면 어떻게 당첨금을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당첨금은 NH농협은행 본점에서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구매한 연금복권 당첨금은 홈페이지에서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5등부터 7등 당첨금은 예치금 계좌로 자동 입금이 되고 3등과 4등은 지급신청 완료 시 자동으로 입금이 됩니다.
마무리

복권을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1등이 되기를 희망할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당첨이 되기가 엄청나게 힘이 듭니다.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매주 구매를 하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저 또한 로또와 연금복권을 꾸준하게 사고 있습니다. 연금복권 실수령액을 보면 사지 않을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직접 판매점에 가서 구매를 해도 되지만 귀찮은 분들은 편하게 온라인으로 구매해 보시기 바랍니다. 월마다 일정 금액을 예치해 두고 구매를 하면 편합니다.